목록취미/영화 (6)
도둑고양이의 일기
부끄럽지만 반지의 제왕은 여러번 봤음에도 불구하고 나는 확장판을 본적이 없다. 그리고 그 사실을 매우 최근에 깨달았다. 그래서 당장 웨이브에서 구매해서 보고있는 중... 확장판하고 무엇이 많이 다른가. 싶은데 또 크게 다른 것이 없는 기분? 어쨌든 확장판 보면서 궁금한거 내 생각 등 평을 남겨보기. 1. 호빗이란 종족에 대하여. 2. 모리아 광산이 아닌 로한의 협곡으로 갔으면 어떻게 되었을까? 3. 엘론드의 평의회에서 반지를 직접 전달하겠다고 발휘한 하나의 호빗을 보는 간달프의 아리쏭한 표정.. 과연 그는 적임자라고 생각했던 상대가 스스로 의지를 가져줌에 대한 고마움이었을까, 호빗도 제대로 된 판단을 하는데 그 외 종족들에 대한 실망감을 표현하는 것이었을까. 4. 간달프의 죽음(?)을 느끼는 프로도의 눈..
★ (영화친구 (이하 영친)과 같이 본 영화 표기) 1. 그레이맨 ("The Gray Man", 2022) ★ "Hey, it's just another Thursday" 뭐가 그렇게 보여줄게 많았는지 속전속결의 전개에 감탄을! 헐리우드 블락버스터급으로 판타스틱한 액션씬과 개얄미운 크리스 에반스의 연기가 재미있었지만 소설의 원작에 입각하여 조금은 느와르 적인 느낌으로 풀어내도 멋진 영화가 되지 않았을까 생각해본다. 하지만 루쏘 형제에게 무엇을 바라냐며... (아직도 인도인 등장인물의 갑작스런 "honor" 판단이 이해가 안간다.) 마치 드라이브의 프리퀄 같은 느낌도 있어서 재미있었다. 2. 장화신은 고양이 ("Puss in Boots", 2011) ★ "I will not let you go, Humpt..

얼마전에 봤었던 딘 마틴과 수잔 헤이워드의 주연인 “에이다(1961)” 어째 좀 딘마틴은 호감형이지만 맹-한 느낌의 주인공만 맡아 하는 느낌이 없지 않아 있는데, 그래도 마치 그 사람 자체 처럼 연기를 참 빈틈 없이 잘 한다. 하지만 이 영화는 수잔 헤이워드의 카리스마 넘치는 연기와, 에이다와 실베스터의 경쟁구도에서 오는 긴장감이 일품. 딘 마틴을 서포팅액터로 바꿔버리는… 하긴 그것도 그럴 것이 영화 제목도 에이다이기 때문에. 참 옛날 여자들은 사회 참여도 어렵고, 할 수 있는 일도 별로 없는데다가 뭔가를 하려고하면 온갖 비난과 변태들이 많아서 힘들었을 것 같다. 에이다 같이 똑똑한 여성들이 세상에서 인정 받는 날이 오고 있음에 감사하지만, 앞으로도 더 나아지기를 기대해본다.
1. RRR: 라이즈 로어 리볼브 ("RRR", 2022) 워낙 상을 많이 받은 영화라서 내용을 모르고 전문 크리틱의 여론을 믿고 본 영화이고, 절대 실망하지 않을 인도의 명품 영화. 인도의 역사와 인도 특유의 판타지가 가미되어 신나고, 멋있고, 휴머니즘의 영화. 2. 레고 배트맨 무비 ("Lego Batman Movie", 2017) "My name is Richard Grayson, but all the kids at the orphanage call me Dick!" "Well children can be cruel." 배트맨 레고 미니피규어가 출시되었을 때 열심히 모았지만 정작 이 영화는 보지 않았던 것이 조금은 부끄러웠고, 드디어 그 회포를 풀게 되었다. 배트맨 특유의 "고독"을 개그화 (mem..
길게 쓰면 너무 피곤하니까 한줄~세줄로 요약하기 1. 드라이브 ("Drive", 2011) "I drive", "Hey, do you want a toothpick?" "운전"만 하는 주인공의 인생의 의미를 찾는 과정처럼 느껴지지만 그것 치곤 좀 과격하게 알아가는 듯한 내용.. 적당한 violence가 냉소적이고 담담하게 그려져있어 약간의 비급 감성까지 추가되어 컬트적인 영화가 될 수 있는 요소를 가진.. 라이언 고슬링의 알듯 모를듯한 미소가 매력적이다. 2. 맹룡과강 ("The Way of Dragon", 1972) "In this world of guns and knives, wherever Tang Lung may go to, he wil always travel on his own" ("약육강식의..
아기다리고 고기다렸던 영화, 달링스(2022) 사실은 나는 영화가 어떤 내용인지도 모르고 봤다. 목이 빠지도록 기다리긴 했지만 일부러 먼저 줄거리를 알고 싶지 않았던 것 같다. 알리아바트의 영화를 믿는 것이 아마 제일 컸던 것이 아닌가 싶다. 불편한 장면은 불편하게 그렸고, 통쾌한 장면은 통쾌하게, 웃긴 대사는 웃기게, 그리고 영화의 의미는 확실하게. 1) 영화의 메인 주제인 가정 폭력에 대하여 가정폭력이란 모든 폭력의 시작이라고 생각한다. 그 어떤 폭력에도 근원을 찾아보면 가정에서부터 시작했을 것이라 생각한다. 가정폭력이 더욱더 무서운 것은 피해자와 가해자가 그 관계에 잠식이 되어버린다는 것이다. 가해자는 피해자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무수히 많은 정신적인 구속과 장치를 설치하고 가해자는 자신이 만든 세..